2. 물가와 실업
1) 물가 상승
물가와 물가 지수
물가 : 시장에서 거래되는 여러 상품의 가격을 종합하여 평균한 값
물가 지수 : 물가 변동을 숫자로 나타낸 지표로, 기준 시점의 물가를 100으로 했을때 비교 시점의 물가 수준을 종합적으로 측정한 값
인플레이션
의미 :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
원인 : 경제 전체의 수요가 경제 전체의 공급보다 많을 경, 통화량이 증가할 경우, 기업의 생산 비용이 증가하느 경우에 물가가 상승한다.
물가 상승의 영향
화폐의 가치 하락 : 일정한 금액으로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이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는 상승한다.
소득의 불공평한 재분배 : 실물 자산을 소유한 사람들에 비해 현금을 보유한 사람들은 불리한 처지에 놓이게 된다.
기업의 투자 활동 위축 : 가계의 저축이 감소하여 생산활동을 위한 기업의 투자가 줄어들고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수립하기 어려워 경제가 위축된다.
불건전한 거래 집중 : 사람들이 저축을 꺼리고 근로 의욕이 저하되어 열심히 일하기보다 부동산 투기와 같은 불건전한 거래가 성행한다.
무역의 불균형 발생 : 외국 상품에 비해 자국 상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져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한다.
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
정부 : 재정 지출 축소, 조세 증가, 생활 필수품 가격 및 공공요금 인상 억제 등
중앙은행 : 이자율 인상으로 저축 유도,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 감소 정책 실시 등
기업 : 기술 개발, 경영 혁신을 통한 생산성 향상 등
근로자 : 과도한 임금 인상 요구 자제, 자기 계발을 통한 생산성 향상 노력 등
가계 : 충동구매 및 과소비 자제, 건전하고 합리적인 소비 생활 등
2) 실업
실업 : 일할 능력과 의사가 있는데도 일자리를 갖지 못한 상태
실업자 : 경제 활동 인구 중 일을 하지 않는 사람.
실업의 원인
경기적 실업 : 경제 불황으로 기업이 신규 채용을 줄이거나 고용 인원을 줄이면서 발생한다.
구조적 실업 : 산업 구조의 변화나 기술 발달로 관련 부문의 일자리가 사라지면서 발생한다.
계절적 실업 : 특정 업종에서 계절의 변화에 따라 고용 기회가 감소하여 발생한다.
마찰적 실업 : 새로운 일자리를 찾기 위해 기조의 직장을 그만두면서 발생한다.
실업의 영향
개인적 측면
→ 생계유지 곤란 : 소득이 없거나 줄어들어 경제적으로 어려워지고 생활 수준의 질이 떨어진다.
→ 심리적 고통 증가 : 자아실현의 기회가 상실되고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취감을 얻을 수 없으며 자신감이 하락하고 불안감이 커진다.
사회적 측면
→ 인적 자원 낭비 : 일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이 경제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여 노동력이라는 경제적 자원이 낭비된다.
→ 정부의 재정 부담 증가 : 정부가 사회 보장비를 지출하거나 실업 인구를 부양해야 하는 부담이 늘어난다.
→ 국민 경제 침체 : 가계의 소득이 감소하여 소비 활동이 줄어들며, 기업의 생산과 투자가 위축되어 경기가 침체되다.
→ 사회 문제 발생 : 빈곤확산, 생계형 범죄 증가, 빈부 격차 등의 사회 문제를 야기한다.
고용 안정을 위한 노력
실업 유형에 따른 정부의 대책
→ 경기적 실업 : 경기 회복 정책, 공공사업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 등
→ 구조적 실업 : 체계적인 직업 교육 실시, 인력 개발 프로그램 마련 등
→ 계절적 실업 , 마찰적 실업 : 취업 관련 정보 제공, 취업 박람회 개최, 고용 지원센터 운영, 일자리 탐색 지원 등
기업의 역할
: 고용 안정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경영 방안 모색 등
근로자의 역할
: 생산성과 업무 처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자기 계발 등